posted by 정재한 2008. 4. 30. 13:52

사용자 삽입 이미지

-2000년 10월 소니 DVR 블루(블루레이 전신) 공개.
-2002년 2월 BDA(Blu-ray Disc Association) 설립(9개사 참여).
-2002년 8월 도시바·NEC AOD(Advanced Optical Disc, HD DVD 전신) 발표.
-2003년 4월 소니 최초 블루레이레코더('BDZ-S77') 발매.
-2005년 8월 블루레이-HD DVD 포맷통일 협상 실패.
-2006년 3월 도시바 최초 HD DVD플레이어 발매.
-2006년 4월 워너브라더스 최초 HD DVD 타이틀 발매.
-2006년 6월 삼성전자 블루레이플레이어('BD-P1000') 세계 최초 발매.
-2006년 6월 소니픽처스 최초 블루레이 타이틀 발매.
-2007년 1월 LG전자 세계 최초 블루레이-HD DVD 동시지원 듀얼플레이어 공개.
-2007년 12월 삼성전자 블루레이 홈시어터('HT-BD2') 세계 최초 출시.
-2008년 1월 워너브라더스 블루레이 단독지원 발표.
-2008년 2월 도시바 HD DVD 사업 포기선언



주요 미디어플레이어의 특징
아날 로그 표준화질(SD) 고화질(HD)
VHS CD DVD 블루레이/HD DVD
1984년~ 1996년~ 2006년~
- 700MB 용량 (신문 2년분량 저장) 4.7GB(싱글)8.5GB(듀얼) (신문 10년/18년분량 저장) 25GB(싱글)/50GB(듀얼) (신문 50년/100년분량 저장)
※자료:삼성전자

◇블루레이란?

블루레이는 고선명(HD) 비디오를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블루레이디스크협회(BDA)가 정한 광기록방식 저장매체다. 블루레이 디스크는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해 DVD에 비해 훨씬 짧은 파장(405나노미터)을 갖는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, DVD와 같은 크기인데도 더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.

현재 단층기록면을 갖는 12㎝ 직경의 블루레이 디스크로 25기가바이트(GB)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. 이로써 1천920×1천80i의 풀HD 방송을 2시간 녹화할 수 있다. 양면의 듀얼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 50GB까지 저장 용량을 늘릴 수 있다.



posted by 정재한 2008. 4. 30. 00:25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. 4. 25. 21:55

2008-1 1학년 영상촬영기초 중간평가문제를 오픈합니다.

수강생들은 학번 + 주민뒷번호로 로그인한 뒤 테스트에 참석하세요.

"4월 24일 실시했던 테스트는 서버트래픽 사정으로 취소되었습니다. @@"

테스트 시작하기!
posted by 정재한 2008. 4. 25. 20:07


최신 기술은 아니지만 터치스크린 기술이 이렇게까지 발전하고 있습니다.
우리는 뛰어가려 애쓰는데 저네들을 날아가네....ㅋㅋ!
posted by 정재한 2008. 4. 25. 19:45

012345


posted by 정재한 2008. 4. 24. 19:47
자체 강의평가를 위한 설문지 양식입니다. 교수님들 참고 하세요~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. 4. 23. 03:21
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. 4. 22. 11:53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. 4. 22. 09:27
사용자 삽입 이미지

ㅎㅎㅎ 뭐 그렇게 대단한 일이라고 새삼스래 난리법썩들인지... 난 이미 충분히 스팸문자를 받고 있는데...
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8. 4. 21. 13:22
세미나실 320호 (150명) 321호 (150명) 304호 (100명) 402호 (150명) 403호 (75명)
5.28
(수)
오전 디지털 전환(1) Mobile TV-1(3) 현장기술-1
특수영상(5)
IPTV-1(7) 디지털 콘텐츠 &
저작권(9)
오후 지상파 DTV (2) Mobile TV-2(4) 현장기술-2
제작 현장기술(6)
IPTV-2(8) 파일기반 제작
솔루션(10)
정책 토론회
(디지털방송활성화)(11)
5.29
(목)
오전 차세대 방송-1
UDTV & 3DTV(12)
디지털 라디오-1 (14) 현장기술-3
파일기반 제작-1(16)
IPTV-3(18) DTV 중계기술(20)
오후 차세대 방송-2
ATSC & DVB(13)
디지털 라디오-2(15) 현장기술-4
파일기반 제작-2(17)
IPTV-4(19) DTV 중계 장비(21)
Web TV 방송국 &
디지털 난시청(22)
5.30
(금)
오전 HD Technology(23) 디지털
Workflow(25)
현장기술-5
디지털 오디오(27)
TV Portal(29) STB(31)
오후 미래방송기술(24) 방송통신 위원회(26) 현장기술-6
HD 카메라(28)
Web 2.0(30) Home Network&
U-City(32)

KOBA 2008  홈페이지 : http://www.kobashow.com/kr/main.asp